2020. 5. 11. 22:53ㆍ네트워크/라우터
라우터를 통과할 때 hop이 된다. 16번째를 지나갈때부터는 패킷을 폐기한다.(무한루프 방지)
classless(RIP v2: 10.10.10.0/24을 그대로 처리함) -> 서브넷 지원함
classful(RIP v1: 10.10.10.0/24을 10.0.0.0/8로 처리함) -> 서브넷지원안함 -> 무조건 기본 서브넷으로 처리함
RIP Metric->Hop
router rip
network 172.16.0.0
static일때는 루프백이 일어나지만 동적라우팅에서는 일어나지 않음
show ip route를 치면 R 172.16.1.0/24 [120/1]이 나오는데,
R-> RIP을 의미한다. 120은 AD값이고 고정되어있는 값으로 120이라면 RIP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120뒤의 값은 1이 hop count, 즉 라우터 개수다. 172.16.12.1로 가려면 라우터 1개를 거쳐야 한다는 의미이다. 만약 120/4로 되어있으면 라우터 4개를 지나야 한다는 뜻이다.
동적 라우팅에서 show ip route는 최적의 경로만 볼 수 있다.
라우터 하나를 끊으면 120/2가 됨
clear ip route * 네트워크 초기화
offset-list 1 out 2 serial
홉을 늘려서 네트워크 경로 제어 가능 ,15 hop count 하면 16부터는 안됨x인터넷 끊김
rip의 metric ->홉 카운트
라우터 하나를 끊으면 [120/2]로 표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invalid after 180- 180초 동안 신호가 들어오지 않으면(저 네트워크가 이상한 것 같아)
hold down- 또다른 180초(다른 네트워크가 목적지로 갈 수 있다고 해도 믿지 않음)를 유지시킴 hold down이 되기 전 flushed 240초 동안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라우팅 테이블에서 빠지게 됨 hold down 끝나기 전 flushed가 먼저 끝남
'네트워크 > 라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터 기본 상식 (0) | 2020.05.11 |
---|---|
0511 offset-list , rip에 대하여 (0) | 2020.05.11 |
0511 default route, backup, 정적 라우팅 요약 (0) | 2020.05.11 |
0508 라우터 loopback과 축약 (0) | 2020.05.10 |
0508 라우터 기본 상식 (0) | 2020.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