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2. 8. 14:13ㆍ클라우드
1. 다음 중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사용하는 서버 가상화 방식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호스트 가상화
2. 하이퍼바이저 가상화
3. 컨테이너 가상화
4. 프로토콜 가상화 v
2. 다음 중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서비스 사용량 측정
2. 온디맨드 클라우드 전문가 지원 v
3. 리소스 풀링
4. 신속한 탄력성
3. IT 리소스를 대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수준을 정량화하여 명확하게 제시하고, 미달하는 경우 손해를 배상하는 것을 ________라고 한다.
1. CapEx
2. ARS
3. OpEx
4. SLA v
4. 다음 중 클라우드 컴퓨팅 보급의 원인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정부의 강압적 의무사용 정책 v
2. 서버의 유휴 리소스 활용을 통한 효율성 향상
3. 규모의 경제에 따른 비용 절감
4. 유연한 IT 서비스 요구
5. 다음과 같이 리소스의 제공량과 요구량이 주어졌을 때 (a), (b), (c)에 들어갈 올바른 리소스 제공량의 상태는?
1. 잉여, 잉여, 결핍 v
2. 결핍, 결핍, 잉여
3. 결핍, 잉여, 결핍
4. 잉여, 결핍, 잉여
6. 다음은 Azure에서 가상 머신 만들기의 ‘네트워킹’ 탭의 일부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영역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공용 IP는 10.0.0.16이다.
2. 가상 네트워크의 이름은 mall-vm1-ip이다.
3. 가상 네트워크의 IP 주소 범위는 10.0.0.0 - 10.0.255.255 이다. v
4. 가상 네트워크에는 최대 256개의 IP가 포함될 수 있다.
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정의인가?
IT 시스템에 요구되는 데이터 센터에 다수의 H/W 및 S/W 설비를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운용하는 방식 |
1. 클라우드서비스
2. 서버(server)
3. IDC(Integrated Data Center)
4. 온프레미스 v
8. 가상화 기술의 기본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티셔닝 – 한 물리 머신에 여러 OS를 운영하고 리소스를 분할
2. 캡슐화 – VM은 폴더와 파일로 존재하며 구조화 되어 이동 및 복사가 용이
3. 격리 – 캡슐화 된 VM의 장애 및 보안 문제 발생 시 격리 및 리소스 제어로 성능 유지 가능
4. H/W 독립성 - 각 VM은 유기적으로 연동 되어 다른 가상화 시스템 또는 물리적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이 불가능 v
9. 여러 조직의 업무와 기능이 유사한 경우 파트너쉽을 맺고 연합된 조직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시스템 배포 모델은?
1. 퍼블릭 클라우드
2. 커뮤니티 클라우드 v
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4. 프라이빗 클라우드
10. 다음은 Azure에서 가상 머신 만들기의 '기본사항' 탭의 일부이다. 인바운드 포트 규칙의 기능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가상머신에 접속할 수 있는 IP주소 (대역)를 허가/제한한다.
2. 가상머신에 접속할 수 있는 특정 포트 (대역) 를 허가/제한한다. v
3. 가상머신에서 접속할 수 있는 외부 리소스의 특정 IP주소(대역)을 허가/제한한다.
4. 가상머신에서 접속할 수 있는 외부 리소스의 특정 포트(대역)을 허가/제한한다.
11. 다음 그림과 같이 라우터 포트에 태그 정보를 설정하여 태그에 상응하는 그룹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은?
1. VLAN v
2. VPN
3. NFC
4. SDN
12. 각각의 사용자에게 실제 IT 리소스인 것처럼 CPU, 메모리, 저장장치를 할당이 가능하도록 물리적 컴퓨터 환경 상에 여러 가상 인스턴스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기술은?
1. 다각화 기술
2. 클러스터링 기술
3. 그리드 기술
4. 가상화 기술
13.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자신의 컴퓨팅 역할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른 일부 컴퓨터(서버)에 크게 의존하는 컴퓨터나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 |
1. 디펜던스
2. 씬 클라이언트 v
3. 멀티 클라이언트
4. 팻 클라이언트
14. 다음 그림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어떤 서비스 모델을 나타내는가?
1. 온프레미스
2. IaaS
3. PaaS v
4. SaaS
15. 온프레미스 시스템 구축 시 직접비용과 간접비용의 예시가 바르게 묶인 것은?
1. 직접-(H/W, 장비관리인력), 간접-(유지보수, 항온, 항습)
2. 직접-(H/W, S/W, 물리보안), 간접-(직무교육, 장비관리인력) v
3. 직접-(직무교육, 백업장치), 간접-(OS, H/W, 항온, 전력)
4. 직접-(물리보안, 장비관리인력), 간접비용-(백업, 네트워크장치, 로드밸런싱)
16. 다음 그림과 같은 서버 가상화 방식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이퍼바이저가 게스트 OS로부터 하이퍼콜을 기반으로 자원 요청을 받고 하드웨어를 제어함
2. 하이퍼콜을 위해 게스트 OS의 커널 수정이 요구됨
3. 하이퍼바이저가 모든 명령에 개입하여 중재하여 병목현상으로 인한 성능저하가 발생함 v
4. 오픈소스 이외의 OS에는 해당 방식을 사용하기 어려움
17. 다음 중 클라우드 컴퓨팅의 단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과도한 비용 지출
2. 제한된 이식성
3. H/W, S/W의 관리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 v
4. 책임 소재의 불분명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서버에 카프카 설치 (0) | 2024.08.07 |
---|---|
GCP 예산 알림 설정 (0) | 2024.05.23 |
방통대 클라우드 컴퓨팅 연습문제 (2) | 2023.12.08 |
방통대 클라우드 컴퓨팅 연습문제 2 (1) | 202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