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2. 8. 14:34ㆍ클라우드
1.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대상과 리스크를 분석하고 컴퓨팅 리소스를 적절하게 배치 및 설계하는 과정 |
1. 클라우드 아키텍처링 v
2. 엣지컴퓨팅
3. 프로비저닝
4. 블루프린팅
2. 다음 중 클라우드 서비스의 효율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아키텍처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리소스 풀링
2. 가상 머신 v
3. 로드 밸런싱
4. 클라우드 버스팅
3. ML 수행 과정이 올바른 순서로 나열된 것은?
1. 모델평가→데이터수집→데이터전처리→데이터학습
2. 데이터전처리→데이터수집→데이터학습→모델평가
3. 데이터학습→모델평가→데이터수집→데이터전처리
4. 데이터수집→데이터전처리→데이터학습→모델평가 v
4. 다음 중 클라우드 버스팅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구성 된 서비스 구조와 동일한 구성을 퍼블릭 클라우드에 구성한다
2. 클라우드 버스팅을 실행해야 할 임곗값 설정 및,대상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 설정한다
3. 버스트 아웃을 통해 퍼블릭 클라우드의 데이터를 복제하여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전송한다 v
4. 버스트인을 통해 데이터 동기화를 진행한다
5. 엣지 계층에 NaaS(Network as a Service)와 NSaaS(Network Security as a Service)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기술은?
1. SNAT
2. SASE v
3. EDR
4. 포그 컴퓨팅
6. '부하 분산 장치 만들기'에서 IP 주소 및 포트 조합으로 전송되는 수신 트래픽을 백엔드 풀 인스턴스 그룹에 분산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가상 네트워크
2. NAT 규칙
3. 프런트 엔드 IP 주소
4. 부하 분산 규칙 v
7. 다음은 Blob Storage에서 파일을 삭제하는 파이썬 코드이다. 연결 문자열이 위치하는 곳은?
1. 1 v
2. 2
3. 3
4. 4
8. 부하 분산 장치 만들기 과정에서 설정하는 아래 그림과 같은 상태 프로브의 역할은?
1. 라우팅 설정
2. NAT 설정
3. 프런트 엔드 IP 지정
4. 리소스 상태 체크 v
9. 다음 어떤 스토리지 단위에 대한 설명인가?
데이터가 객체 단위로 구조화되는 스토리지로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로 구성된다. 각각의 데이터 객체는 고유 ID로 구분된다. |
1. 파일
2. 블록
3. 데이터 세트
4. 오브젝트 v
10. 다음의 절차는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
기존의 VM을 복제하여 새로운 물리서버에 생성한 VM으로 이관하여 다운타임을 최소화하는 작업 |
1. 장애 방지 시스템
2. 호스트 가상화
3. 무중단 서비스 재배치 v
4. 로드 밸런싱
11. 고속의 데이터 접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저장장치와 서버를 파이버 채널을 사용하여 연결한 네트워크는?
1. RAID
2. SAN v
3. NAS
4. Blob Storage
12. 다음 중 리소스 풀링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가용한 리소스를 담아두는 공간을 사용한다
2. 리소스 풀의 리소스의 물리적 위치를 공개하여 인접한 리소스를 사용자가 선택한다 v
3. 도시,국가 단위의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
4. 사용자는 리소스를 빌리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한다
13. Azure ML Studio에서 데이터의 데이터 형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하는 블록은?
1. 1
2. 2
3. 3 v
4. 3
14. 다음 중 로드 밸런싱이 요구되는 상황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갑작스럽게 이용자가 폭증하는 상황
2. 서비스의 확장 및 축소가 필요한 상황
3. 하나의 서버에 서비스 요청이 집중되는 상황
4. 이용자의 증가량이 확정적으로 예측 되는 상황 v
15. Blob Storage를 사용하여 데이터 관리 시 가장 선행되는 것은?
1. 컨테이너 생성
2. 가상 머신 생성
3. Blob Storage에 파일 업로드
4. 스토리지 계정 생성 v
16. Azure Functions(함수 앱)에서 트리거의 의미는?
1. 사용자 요청을 분산 처리하는 시점
2. 리소스를 반환하는 방식
3. 함수를 호출하는 이벤트 유형 v
4. 애플리케이션이 시작 되는 지점
17. 다음 중 스토리지 다중화 및 확장 기술이 아닌 것은?
1. NFV v
2. NAS
3. SAN
4. RAID
18. 클라우드의 서비스의 고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다중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부하분산
2. 데이터 베이스 혹은 스토리지 이중화
3. 중앙 집중식 서비스 구성 및 리소스 배치 v
4. 리소스 풀링, 로드 밸런싱, 클라우드 버스팅 사용
19.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엔드포인트 단말기의 물리적 위치와 인접한 곳에서 컴퓨팅을 수행하여 요청에 대한 반응 시간을 단축시키는 기술 |
1. 포그 컴퓨팅
2. 엣지 컴퓨팅 v
3. 클라우드 컴퓨팅
4. 클라우드 버스팅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서버에 카프카 설치 (0) | 2024.08.07 |
---|---|
GCP 예산 알림 설정 (0) | 2024.05.23 |
방통대 클라우드 컴퓨팅 연습문제 (2) | 2023.12.08 |
방통대 클라우드 컴퓨팅 연습문제 1 (3) | 202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