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3)
-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제1장 문제
제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문제 1. 모델링은 현실세계에 대해서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 중 모델링의 특징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현실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하는 추상화의 의미를 가질 수 있음 ② 시스템 구현만을 위해 진행하는 사전단계의 작업으로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사전작업의 이해가 있음 ③ 복잡한 현실을 제한된 언어나 표기법을 통해 이해하기 쉽게 하는 단순화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 ④ 애매모호함을 배제하고 누구나 이해가 가능하도록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하는 정확화의 의미를 가짐 2. 다음 설명 중 데이터 모델링이 필요한 주요 이유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업무정보를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정보들에 대해 일정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한다. ② 분석된 모델을 가지고 데이터베이..
2022.02.20 -
2. 식별자(Identifiers)
2-1. 식별자(Identifiers)란? 우리는 앞에서 인스턴스들의 집합(조합)이 엔터티라고 했다. 그럼, 엔터티내에서 특정 인스턴스를 구별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를 위해서 식별자가 존재한다. 즉, 여러 개의 인스턴스를 담고 있는 엔터티에서 인스턴스를 구별하기 위한, 즉 엔터티를 대표하는 속성을 의미하며 하나의 엔터티에서는 반드시 하나의 유일한 식별자가 존재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공부를 했던 사람이라면 키(Key)와 식별자를 동일하게 생각할 수 있는데, 식별자는 업무적으로 구분이 되는 정보이므로 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며, 키(Key)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에 접근을 하기 위한 것으로 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2-2. 식별자의 특징 ..
2022.02.03 -
1. 관계(Relationship)
1-1. 관계(Relationship)란? 사전적으로 정의했을 때, 관계란 상호 연관성이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우리가 학습하고자 하는 데이터 모델의 개념에서 생각하면, 엔터티의 인스턴스 간 논리적인 연관성이라고 생각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존재의 형태로서나 행위로서 서로에게 연관성이 부여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엔터티와 엔터티 간 연관성을 표현하기 때문에 특정 엔터티의 정의에 따라 영향을 받기도 하고, 속성 정의 및 관계 정의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2. 관계의 패어링(Relationship Paring) 관계에 대해서 생각할 때 유의해야할 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관계의 정의를 통해 고려해볼 때, 엔터티 안의 인스턴스가 보두 동일한 관계를 가지고 ..
2022.02.03 -
2. 속성Attribute
2-1. 속성(Attribute)란? 속성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사물의 성질이나 특징, 그것이 없다면 실체를 생각 또는 표현할 수 없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데이터 모델의 관점에서 속성은, 인스턴스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속성이란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으며, 엔터티를 설명하는 요소이며 인스턴스의 구성요소이다. 2-2. 속성의 특징 속성 또한 엔터티와 같이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성질을 지니지 않는다면 적절하지 못한 속성일 확률이 높다. - 엔터티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이어야 한다. - 정규화 이론에 근간하여 정해진 주 식별자에 함수적 종속성을 가져야 한다. 쉽게 말..
2022.02.03 -
1. 엔터티Entity
1. 엔터티(Entity) 1-1. 엔터티(Entity)란? 데이터 베이스의 개념 중에서도 데이터 모델에 대해 공부를 시작할 때 제일 먼저 나오는 개념이 '엔터티(Entity)' 이다. 엔터티는 쉽게 말해 실체, 객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엔터티를 정의하는 개념들을 정리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 엔터티는 사람, 장소, 물건, 사건, 개념 등과 같은 명사에 해당된다. - 엔터티는 업무상 관리가 필요한 것에 해당된다. - 엔터티는 저장 되기 위한 어떤 것(Thing)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학교라는 곳에선 과목이라는 엔터티가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엔터티는 인스턴스의 집합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즉 과목이라는 엔터티가 있다면, 수학, 영어, 국어와 같은 인스턴스가 과목이라는 엔터..
2022.02.03 -
MPLS란
MPLS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개요 IP Routing 기존의 IP Routing을 하기 위해서 RIP, IGRP, EIGRP, OSPF, BGP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라우터에 라우팅 테이블을 구성하였다. 또한, IP Routing 기반에 데이터 전송은 해당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를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넥스트-홉에게 전달 및 포워딩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동작을 각각의 라우터에서 반복적으로 동작하여 해당 목적지로 데이터 전송이 보장된다. 즉, 라우터는 해당 패켓이 도착하면, 라우팅 프로토콜로 학습한 경로 정보를 라우팅 테이블에서 참조하여, 넥스트-홉에게 전달한다.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MPLS는 기존의 IP Rou..
2021.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