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3)
-
Zenmap
타겟의 운영체제와 버전 확인(우리가 운영체제와 버전을 숨겨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서비스 버전 확인 대상 호스트가 살아있는지 확인 (전원이 꺼져있으면 안된다.) 대상호스트의 포트 확인 타겟이 방화벽에 의해 보호되는지 확인 tcp null. 방화벽을속여 응답을 생성
2020.07.10 -
SQL Injection
# service apache2 start # wafw00f 공격할 IP 오류화면 - ip주소를 못찾을때 나오는 화면 다음과 같이 작성 *스페이스바를 사용하지 않고 tab키만 이용할 것* mysql 계정과 db를 만든다. # service mysql start # mysql –u root –p mysql> use mysql; mysql> update user set mysql restart 다른 pc의 인터넷 주소창에 ip/login.php 로 들어가서 만든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로그인 성공화면 로그인 실패시 나오는 화면 패스워드 입력창에 1’or’1을 입력한다. 로그인이 성공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방화벽 설정 방화벽을 설치하고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아까와 같이 패스워드 입력창에 1’or’1 을 입..
2020.07.10 -
dd 백업
dd 명령어는 파티션이나 디스크 단위로 백업할 때 사용하는 유틸리티로, 사용하기는 쉬우나 많은 시간이 소요 된다. 압축 없이 백업/복구를 하기 때문에 용량이 넉넉해야 한다. 하드디스크를 추가한 뒤, fdisk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티션을 나누어 주고 확인한다. 마운트를 할 디렉터리 /dir1을 생성하고 mkfs.ext4 명령어를 이용하여 새로 생성한 파티션에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dd if=/dev/sda of=/dev/sdb1 bs=1M 디스크 백업을 한다. If에 백업할 디스크나 파티션을, of에 저장할 디스크나 파티션을 지정하고 bs는 블록단위라는 뜻으로 블록 하나를 1MB로 설정한다는 뜻이다. df명령어로 확인한다. dir1에 백업 되어 용량이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0.07.10 -
nfs 사용
# yum install -y nfs-utils # gedit /etc/exports 임의의 그룹, 허용 아이피, 허용할 권한 을 입력한 뒤 저장한다. 192.168.0.121의 아이피를 가진 사람이 만든 nfs 폴더들이 보인다.
2020.07.10 -
Shell 확인 명령어!!
cat /etc/shells 변경 가능한 셸을 확인 cat /etc/profile 시스템 전역(모든 사용자)에 대한 환경설정 파일. 로그인시 설정 내용을 읽어들인다. cat /etc/bashrc 시스템 전역(모든 사용자)에 대한 환경설정 파일. 새로운 bash가 실행될 때 마다 내용을 읽어들임. cat /etc/chsh 이런건 없고... chsh는 "change shell" 사용자가 기본으로 사용하는 쉘의 종류, 즉 로그인시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쉘의 종류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chsh [옵션] [계정명] 다음과 같이 사용하며, 해당 계정의 쉘의 종류를 변경 할 수 있다.
2020.07.10 -
rsync 백업
rsync를 이용해서 sda2(/home/*)에 있는 파일을 sdb1에 백업하기 home디렉터리에는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있다. 위의 파일들을 백업 할 것이다. 하드디스크를 추가한다. fdisk -l 을 이용하여 하드디스크 목록을 확인 할 수 있다. 새로 장착한 하드디스크(sdb)의 파티션을 설정하고 포맷한다. fdisk /dev/sdb 파티셔닝이 제대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kdir mnt/data2 파일을 만든다. sdb1을 /mnt/data2에 마운트 한다. 재부팅 때마다 자동마운트를 하고 싶으면 fstab에 등록한다. lsblk를 입력하여 sdb1가 mnt/data2에 마운트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rsync -av /home/* /mnt/data2 명령어를 입력하면 ho..
20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