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3)
-
LSTM
RNN 요약 설명 RNN은 순차적인 방식으로 input을 처리한다. 순차적인 방식이란, 현재 단계(step)의 output을 계산할 때 이전 단계의 context를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 방식은, 현재 단계의 input이 다른 단계에 걸쳐서도 자신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한다. LSTM은 "long-term memory"(장기 기억)를 보존하는 능력이 있다. 그니까 딥러닝 기술인 것 같은데 제대로 이해는 못하겠음
2020.08.25 -
Tensor
텐서는 어떻게 바라보아도 그 본질이 변하지 않는 것을 텐서(Tensor)라고 한다. 위의 말은 다소 애매모호한 표현인데, 이것을 수학적으로 정의하면 어떠한 좌표변환을 하더라도 변하지 않는 것을 텐서라고 한다. 즉, 직교좌표계로 바라보던 원기둥좌표계를 바라보던... 혹은 같은 직교좌표계더라도 원점을 이동해서 바라보던... 본질이 변하지 않는 것을 텐서라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텐서란 이게 아니고... 팀뷰어(TeamViewer)는 기업용 SaaS 플랫폼 ‘텐서(Tensor)’를 출시한다고 10일 밝혔다. 팀뷰어 텐서는 안전한 원격 접속, 서포트, 제어 및 협업 기능을 제공하며, 전 세계 사무실을 연결하기 위해 특수한 규제와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 대기업들에게 최적화된 플랫폼이다. 또한 통합된 사용 로..
2020.08.25 -
MVC , MTV, Django 개념
Model - 안전하게 데이터를 저장 View - 데이터를 적절하게 유저에게 보여줌 Control , Template(Django) - 사용자의 입력과 이벤트에 반응하여 Model 과 View 를 업데이트 - MVC 구조 MVC Roles and Relationships Diagram model - controller - view - user 1. user가 controller 를 통해 input 이나 event를 조작을 함 2. controller는 model 에 있는 정보를 가공하여 view에 보냄 3. view를 또 user에게 보내주던지, 유저가 input을 하면 controller가 model 에게 보내는 유기적인 관계 MTV Django 의 경우 controller 대신 template 가 들..
2020.08.25 -
네트워크 L2스위치 L3스위치 L4스위치들의 기능
스위치 허브를 분류하는 가장 주된 기준은 각 스위치가 어떤 계층에서 사용되는지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다. 이 계층을 OSI 7계층이라고 하는데, 스위치허브가 사용되는 계층은 4개로, L2, L3, L4, L7 계층으로 분류한다. L2 스위치: 가장 기본적인 주소인 MAC 주소를 컨트롤 L3 스위치: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IP 주소를 컨트롤 L4 스위치: 실제 전송을 담당하므로 포트를 컨트롤 L7 스위치: 실제 어플리케이션 영역을 담당
2020.08.25 -
32 bit 64 bit
프로그램 실행을 요청받은 CPU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메모리의 크기 즉, 32비트 CPU는 주어진 데이터를 32비트씩 잘라서 수행하고, 64비트 CPU는 64비트씩 잘라서 수행한다. 32비트는 4바이트이고 4개의 문자정보(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고, 64비트는 8바이트이고 한 번에 8개의 정보(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비트가 클수록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많다는 것이기에 더 빠르다. 즉 32비트보다 64비트가 더 빠르게 데이터 처리를 한다는 것이다. 한번에 수행하는 데이터가 많을수록 데이터 입출력이 줄고 연산이 빨라지기 때문에 64비트 CPU가 훨씬 빠르다.
2020.08.25 -
IDS와 IPS의 정의 및 개념
1. IDS (Instrusion Detection System) 정의 / 개념 IDS란 침입탐지시스템입니다.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자원의 무결성, 비밀성, 가용성을 저해하는 비정상적인 사용과 오용, 남용 등의 행위를 가능한 한 실시간으로 탐지하여 관리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보내주고 대응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 특징 ① 내, 외부망의 접속점에 위치하여 방화벽의 부족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침입탐지 시스템 ② IDS 도구의 기본 목적은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하는 의심스러운 행동을 발견하고 관리자에게 경고음 전달 ③ 시스템의 침해여부를 보기위해 액세스 로그들을 조사하여 파일을 분석하는 시스템으로 활용됨 2.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정의 / 개념 IPS란 침입방지..
2020.08.24